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15세기 일본 수묵화로 본 미술의 직관성
죠세쓰(如拙), <표점도(瓢鮎図)>, 15세기, 111.5x75.8, 종이에 먹과 옅은 색, 교토국립박물관“미끌거리는 표주박으로 메기를 잡을 수 있는가?” 이 작품은 약간 엉뚱해보이는 이 질문을 소재로 일본 무로마치시대 선승화가 죠세쓰(如拙)가 그린 그림이다. 작품 상단에 “대상공이 승려 죠세쓰로 하여금 오른쪽에 놓을 작은 병풍에 새로운 양식으로 그림을 그리게 했다(大相公俾僧如拙畵新樣於座右小屛之間)”고 써있는 것으로 보아 죠세쓰가 주문 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상공(大相公)은 당시 무로마치막부의 쇼군이었던 아시카가 요시모치(足利義持, 1395-1423)로 추정된다. 그리고 그 옆으로 선승 31인이 이 질문에 대한 소감을 시로 적었다. 이렇게 이성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질문과 답(흔히 선문답이라고 하는)을 ‘공안(公案)’이라고 한다. 경전 학습이나 형식적인 수행이 아니라 모든 문제의 근원은 마음에 있다고 여기고 깨달음을 목표로 삼았던 선종에서 사용된 방식이다. 선승들은 이런
로그인한 사용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