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까지는 기초 공부를 좀 하고 그 이후에는 자연으로 더 부드럽게 돌아가리라

미술사에서는 화풍의 변화가 많은 화가들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변화를 위한 그들의 실험 및 도전정신, 작품의 혁신성 등이 미술의 새로움을 위한 발전을 이끌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응노는 문인화에서 시작하여 일본 신남화, 반추상회화, 앵포르멜, 문자추상 등 한 사람의 일생에서 이렇게 다양한 화풍을 보이는 게 가능하기나 한 건가 싶을 정도로 변화무쌍했고, 매번 높은 평가를 받은 화가였다. 거장이라 불러도 손색없을 정도로 미술의 전개에 획을 그은 화가였다. 이런 화가들을 보면 경외감이 절로 느껴진다.
반대로 일생에 걸쳐 큰 변화없이 자신이 추구했던 예술관을 끝까지 지켜나가는 화가도 있다. 이들은 시대가 자신의 예술관을 높이 평가해주지 않아도, 인기가 없어 작품이 팔리지 않아도 화폭을 유일한 안식처로 삼은듯 묵묵히 화업을 이어나간다. 그렇다고 이들에 대해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지 못했다며 낮게 평가할 수 없다. 시대의 눈은 언제나 변하는 것이고 시대의 흐름에 꼭 맞출 필요도 없으니 말이다. 오히려 변화를 꾀해야 살아있는 것처럼 여겨지는 시대에는 이런 화가-최근 성곡미술관 전시에서 예상치 못한 인기를 누린 원계홍도 이제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 같다-에 더 눈길이 갈 때도 있다.
유영국은 1935년에 도쿄의 문화학원(文化学院) 유화과에서 미술을 배운 후 독립미술협회, 자유미술가협회에 적을 두고 활동한 화가다. 귀국 후인 1947년에는 한국 최초의 추상미술 단체인 신사실파를 결성했고, 1957년에는 모던아트협회를 설립했다. 그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의 보수성에 대항하여 추상미술운동을 주도하였다. 그의 일생에 걸친 작품세계는 기하학적인 추상이 항상 기저에 위치해있었다. 회화의 가장 기본 요소인 점, 선, 면만으로 이루어진 절대 추상을 추구할 때도 있었고 자연의 모습을 기초로 한 추상회화를 그릴 때도 있었다. 작품의 시작점은 시대별로 차이가 있지만 기하학적인 추상이라는 형식의 완성에는 변함이 없다.
어떤 분야건 한결같은 모습을 유지하고 흔들림없이 자신의 본분을 지키는 사람들에겐 기본에 충실하려는 공통점이 있다. 기본을 지키려고 하기에 초심을 잃지 않는 것일 수도 있겠다. 처음에는 이들의 가치를 눈치채지 못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그 존재의 무게감을 느끼고 존경하게 된다. 유영국은 "60세까지는 기초 공부를 좀 하고 그 이후에는 자연으로 더 부드럽게 돌아가리라”라고 할 정도로 회화의 기본, 조형의 본질을 지키려 노력했다. 60세까지 기초 공부를 하려 했다니. 아마 회화의 본질, 자연의 본질이 모두 동일하다고 여겼기에 이같은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덕분에 순수 추상, 자연에 기반을 둔 추상 등 여러 형식의 작품을 선보였음에도 본인의 예술적 이상이었던 기하학적인 추상회화 양식이라는 큰 틀에서 벗어나지 않을 수 있었다. 젊었을 때 품었던 이상을 생애 마지막까지 지키고 꿈꿀 수 있었다는 점은 존경심을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기본이 굳건하기에 다양한 실험성을 선보인 화가들 못지 않은 생동감을 내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비록 요란스럽게 눈에 띄지는 않더라도 말이다. 정중동(靜中動)의 현형처럼 여겨진다.
유영국의 1957년작 <작품>은 1957년 모던아트협회 전시에 출품한 <노을>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일본 유학시절의 극단적인 기하학적 추상과는 달리 조형요소의 외형이 부드러워진 게 특징이다. 선과 면만으로 이루어졌지만 한 눈에 봐도 자연에서 모티프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화면 하단의 청색은 강 혹은 개울, 풀색과 초록색은 들판 혹은 논, 상단의 빨간색은 저물고 있는 해로 보인다. 그리고 화면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굵은 검은색 선은 얼핏 논두렁이나 작은 길로 보이기도 하고, 넝쿨을 드리우기 위한 지지대같기도 하다.
면과 면이 만나면서 또 다른 면을 창출하고 선과 면이 유기적으로 얽혀있되 화면 바깥으로 흐트러지기보다는 화면 안에서 짜임새를 갖추려는 운동감을 느낄 수 있어 구성적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면과 면의 경계가 명료한 점은 작품의 엄격함과 단순함을 동시에 느끼게 해줘 상당히 밀도가 높은 걸작이라 할 만하다.
2002년에 세상을 떠난 유영국은 1999년까지 작품활동을 지속하였다. 작품을 제작하는 가운데 울진에서 양조장을 운영하여 생계를 꾸려나간 적도 있다. 비교적 이른 시기인 1977년에는 심장박동기를 부착했는데 이후 여러 차례의 뇌출혈로 병원을 오가는 일이 잦았다. 그 시대의 대부분의 화가들이 그러했듯 유영국도 작품활동에만 온전히 집중하기 어려운 일생을 지냈다. 그의 이러한 일생을 알고 나면 60여 년간 흔들림없이 지켜온 기하학적인 추상이 회화의 본질에 가깝다고 여긴 그의 예술관이 더 굳건하게 느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