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About
  • Art News
  • Exhibition
  • Art History
  • Book
  • 로그인

[8월 1주] 미술계 뉴스 큐레이션

이장훈
이장훈
- 8분 걸림 -
지난 3월 16일 오전 광화문 앞 매장문화재 발굴 현장에서 일제강점기 때 설치된 전차 철로가 언론에 공개됐다. 뉴스1

일제강점기때 설치한 광화문 앞 철로 일부…박물관에 전시

일제강점기때 설치한 광화문 앞 철로 일부…박물관에 전시 | 중앙일보
광화문 앞 전차 철로는 지난해 9월부터 광화문 월대(越臺, 月臺·궁궐의 중심 건물인 정전 등 주요 건물에 설치한 넓은 대)와 주변 지역을 발굴 조사하던 중 드러났다. 철로 일부 구간을 옮기더라도 광화문 월대 복원 공사는 그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철로가) 남아있는 흔적이 많지 않거나 상태가 좋지 않다”며 ”이런 부분은 두고 그 위에 광화문 월대를 복원하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명한 그림 뒤 숨겨진 이야기…'화가들의 마스터피스'

“이 책은 명화가 만들어지는 환경과 명성이 높아지는 과정을 재조명해 현재 위대하다고 일컬어지는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공한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에 담긴 매혹적인 이야기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이젤에서 대중의 환호 속으로 가는 여정이 명화 그 자체만큼 매력적일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림 속 인물의 표정과 자세, 시선, 태도 등은 물론 화가와 얽힌 사건을 따라감으로써 작품이 오래도록 매력적으로 보이는 요인을 분석해 그림의 진실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도록 이끈다.”

유명한 그림 뒤 숨겨진 이야기…‘화가들의 마스터피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책 ‘화가들의 마스터피스‘에는 산드로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을 시작으로 앤디 워홀의 ‘캠벨 수프 캔‘, 에이미 셰럴드의 ‘미셸 오바마 초상화’까지 유명하고 친숙한 그림들이 등장한다. 미

화가 김환기의 40년 예술 여정 조망하는 회고전 《한 점 하늘, 김환기》

“김환기의 작품세계는 일반적으로 그가 거주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학습과 추상미술을 발견한 일본 시대, 백자와 자연을 주제로 한 서울과 파리 시대, 완벽한 추상의 점화를 이룩한 뉴욕 시대로 구분한다. 한 작가의 생애가 예술의 여정을 노정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서구의 추상적 조형언어를 추구하면서도 민족적 자의식을 깊이 새기고 있는 것 또한 특이점이다. 특히 6·25 전쟁을 경험하며 그의 화면은 동양화에서 낙관, 문자를 작품 안에 넣기, 세로로 글쓰기와 같은 전통의 요소를 서양화로 표현해 내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

화가 김환기의 40년 예술 여정 조망하는 회고전 《한 점 하늘, 김환기》
김환기, 별보다 많은 점과 하늘 끝 닿았을 선 ”몬드리안의 작품 너머에는 아무것도 없다. 그의 작품은 그 자체로서 하나의 목적이 된다. 반면 환기의 작품은 자연처럼 더욱 열려 있으므로 우리가 항상 그 속에 들어가서

[미술로 보는 세상] 그들이 노려보는 것은?

가족이 한데 모여 사진을 찍는 장면을 그린, 독일 화가 프란츠 폰 렌바흐(1836~1904)의 '렌바흐 가족의 초상화'(1903)다. "네가 사진기라는 물건이라고? 우릴 한 번 찍어 봐. 자, 다들 눈을 부릅떠!”

[미술로 보는 세상] 그들이 노려보는 것은?
한 가족의 초상화다. 등장인물들의 표정과 자세가 심상치 않다. 왜일까? 가족이 한데 모여 사진을 찍는 장면을 그린, 독일 화가 프란츠 폰 렌바흐(1836~1904)의 ‘렌바흐 가족의 초상화’(1903)다. ”네가 사

국공립미술관장 곳곳 공석, 시장 반토막…한국 미술판의 위기

“이탈리아 개념미술 거장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이나 백자 명품 전은 명작들을 한자리에 모았다는 백화점식 구성으로 관객 동원에는 성공했지만 맥락과 역사성을 재발굴하는 기획의 본령에는 한참 미치지 못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한국현대실험미술전은 20여년 전 미술관의 실험미술기획전 구성과 작품들을 상당 부분 그대로 가져오고 정작 새로운 미술사적 연구성과는 거의 반영하지 못한 수준이하의 기획이라는 혹평을 면치 못했다.”

국공립미술관장 곳곳 공석, 시장 반토막…한국 미술판의 위기
올여름 한국 미술판은 짙은 먹구름에 뒤덮였다. 미술계 제도를 대표하는 주요 국공립미술관은 관장 공석 상태이거나 행정직 공무원들이 관장을 차지하는 파행상태에 놓였다. 또 다른 축인 미술시장은 거래량 급감으로 지난해보다

현대 미술품을 경매로 사면 안 되는 이유

“동시대 미술작가의 작품을 구입하고 싶다면, 경매소는 피하는 게 좋다. 경매의 경우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 거래되는 작품의 풀(Pool)이 생길 때, 그리고 새로운 작품의 등장 가능성이 적을 때부터 경매를 이용하는 게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경매에 등장하는 작품은 구매 시기와 다시 파는 시기의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른 뒤, 시류 및 작가의 재평가, 작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 경제적 흐름을 반영해서 오픈 마켓에서 최선의 가격을 받으려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현대 미술품을 경매로 사면 안 되는 이유
경매는 한 작가 작품의 매매에 관한 분명한 기록을 보여줌으로써 작품의 상업적 가치에 대한 투명한 지표가 된다. 학창시절 열심히 공부하듯, 관심 있는 작가가 있다면 시기별로 경매 가액을 조사해 보도록 하자. 어떤 작품이 어디서 왔고 (프로 버너스), 누가 샀고, 얼마에 팔렸는지를 정리하다 보면 해당 작가에 대한 작은 경매 리포트를 쓸 수 있을 것이다. 사전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Art History

이장훈

아트앤팁미디어랩 디렉터. 대학원에서 미술사(동아시아회화교류사)를 전공하고, 박물관 학예연구사, 문화예술 관련 공공기관 프로젝트 매니저로 미술계 현장에서 10년간 일했습니다. 현재는 미술작품의 아름다움을 찾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글을 쓰고, 전시를 기획하며, 미술사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이 달의 무료 콘텐츠를 모두 읽으셨어요 😭

구독하시면 갯수 제한 없이 읽으실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