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About
  • Art News
  • Exhibition
  • Art History
  • Book
  • 로그인

[9월 4주] 미술계 뉴스 큐레이션

이장훈
이장훈
- 8분 걸림 -

“걸작 그려달라”…한국화 4대가에 주문, 성북동 컬렉터의 유산

“지난 5월부터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진행중인 한국화의 최고 명가 동산방화랑의 창업주 고 박주환(1929~2020) 회장의 기증 컬렉션 특별전 ‘동녘에서 거닐다’(내년 2월12일까지)는 이런 물밑의 미술사를 슬쩍 드러낸 전시다. 1960년대 초 전통 그림들의 뒷면과 가장자리를 액자나 천 등으로 덧대어 튼튼하게 보존해주는 표구(장황) 가게로 시작해 1974년 동산방 화랑을 열어 한국화 전시의 최고 명가로 만든 박 회장이 1970년대 명망있는 컬렉터의 품격 높은 기획 컬렉션 과정을 담은 명품들을 선별해 수집했고, 그 대표작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걸작 그려달라”…한국화 4대가에 주문, 성북동 컬렉터의 유산
이 땅에 압축성장의 시대가 열린 1970년대 초반부터 한국인의 생활문화에 불어닥친 큰 변화가 아파트 열풍이었다. 거실, 부엌, 안방 등으로 구획된 거주공간을 붕어빵을 형틀로 찍어내듯 수백, 수천여개씩 똑같은 모양으로

《가장 진지한 고백: 장욱진 회고전》 전시개막 현장 라이브 / 국립현대미술관


BTS RM이 되살린 조선 왕실 '활옷'…볼만한 전시


김환기의 힘…호암미술관 전시 15만명 유료관객 동원

“이는 호암미술관이 1982년 4월 개관한 이래 역대 유료 관객 중 최다 기록이다. 삼성문화재단이 함께 운영하는 리움미술관까지 포함해도 2016년 올라퍼 엘리아슨 전시 때 15만여명에 이어 유료 전시 중 두 번째 기록이다. 삼성문화재단은 정확한 관객 수를 공개하지 않은 채 올라퍼 엘리아슨전 관람객이 더 많긴 하지만 큰 차이는 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김환기의 힘…호암미술관 전시 15만명 유료관객 동원
호암미술관 재개관전으로 열렸던 김환기 전시에 약 15만명의 유료 관람객이 다녀가며 호암미술관 최다 관람객 기록을 세웠다. 16일 삼성문화재단에 따르면 호암미술관에서 올해 5월18일 개막했던 김환기 전은 15만명에 근

서울대에 ‘박완서 아카이브’ 생긴다...미공개 일기 11권 전시

“아카이브는 중앙도서관 2층에 25~30평 규모로 마련될 예정이다. 생전에 박완서가 지냈던 구리시 아치울 노란집 서재를 재현할 계획. 저서, 소장서, 학술서 등 책 3000여 권과 책상, 의자, 서랍장 등 서재에 놓여 있던 물건을 전시해, 실제 작가가 생활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단독] 서울대에 ‘박완서 아카이브’ 생긴다...미공개 일기 11권 전시
서울대 중앙도서관에 고(故) 박완서(1931~2011) 소설가의 아카이브가 생긴다. 오는 19일 오후 4시 중앙도서관 관정마루에서 열리는 아카이브 설치 협약식에선 그간 공개되지 않았던 박완서의 일기 11권이 모습을

허백련·오지호미술상 올해부터 광주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광주시는 문화예술상 운영과 관련, 문화예술상 위상제고를 위해 지난 3월 개선 TF를 꾸려 개선방안을 모색해왔다. 그 결과 미술상 부문은 미술 전문기관인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운영하기로 결정한 것. 허백련미술상, 오지호미술상은 두 거장의 예술정신을 계승하고 한국 미술 발전에 뚜렷한 공적이 있는 미술인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94827670757874007


미국의 유명 인사들 초상은 다 모였다, 국립 초상화 갤러리


3년전 도난당한 '85억' 고흐 그림…'이 가방'에 담겨 돌아왔다

“네덜란드의 한 미술관이 2020년 도난당한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을 3년 만에 되찾았다. 신원미상의 한 남성이 그림을 이케아 가방에 담아 돌려준 것으로 알려졌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네덜란드 북동부 흐로닝언주(州)에 있는 흐로닝언 박물관은 "(반 고흐의)'봄의 정원'(Spring Garden)이 도난 3년 만에 돌아왔다"고 밝혔다.”

3년전 도난당한 ’85억′ 고흐 그림…‘이 가방’에 담겨 돌아왔다
네덜란드의 한 미술관이 2020년 도난당한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을 3년 만에 되찾았다. 신원미상의 한 남성이 그림을 이케아 가방에 담아 돌려준 것으로 알려졌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

[살며, 느끼며] 바로 보고, 거꾸로도 보고

“구겐하임에 가면 1960~70년대 한국의 아날로그 시대, 가난하나 열정이 넘쳐서 짠하던, 기성예술에의 반란이 담긴 격동기 한국 미술을 볼 수 있다. 고단했기에, 결핍의 시대였기에 가끔 몹시도 그 시절이 그리워진다.”

[살며, 느끼며] 바로 보고, 거꾸로도 보고 - 미주 한국일보
아방가르드(Avant-garde, 전위예술)라면 뭔가 쇼킹한 퍼포먼스와 더불어 파격적인 이미지가 있다. 1960년대 서양미술사를 사로잡았던 아방가르드 반문화 운동이, 한국에서는 6.25 후유증과 혼란, 가난, 독재정권, 근대화 시대에 전위예술이 제대로 자라기나 했을까 싶을 것이다. 그러나 존재했다. 경찰에게 잡혀가고 핍박받으면서도 한국의 초창기 실험미술 개척자들은 훌륭한 족적을 남겼다. 우리는 이를 맨하탄 구겐하임미술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1960s~197…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Art News

이장훈

아트앤팁미디어랩 디렉터. 대학원에서 미술사(동아시아회화교류사)를 전공하고, 박물관 학예연구사, 문화예술 관련 공공기관 프로젝트 매니저로 미술계 현장에서 10년간 일했습니다. 현재는 미술작품의 아름다움을 찾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글을 쓰고, 전시를 기획하며, 미술사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이 달의 무료 콘텐츠를 모두 읽으셨어요 😭

구독하시면 갯수 제한 없이 읽으실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