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팔대산인(八大山人)의 그림에 담겨있는 무기력함
팔대산인(八大山人), <팔팔조도(叭叭鳥圖)>, 《안만첩(安晩帖)》, 1694, 31.8x29.7, 센오쿠하쿠코칸(泉屋博古館), 일본중국 명에서 청으로 왕조가 교체되던 시기에 활동한 팔대산인(八大山人, 1626-1705)이라는 화가가 있다. 그의 본명은 주탑(朱耷)으로 명 황실의 후손이다. 국가가 교체된다는 것은 태어날 때도 대한민국이고, 죽을 때도 대한민국일 가능성이 높은 지금 시각으로 볼 때 어떤 의미였을지 와닿지 않을 역사책 속 한 챕터에 불과하다. 그러나 조금 더 들여다보고 깊은 상상에 잠겨보면 당시 사람들의 일상이 어땠을지 가늠은 할 수 있다. 역사 공부의 매력은 여기에 있는 것 같다. 단순한 문장이지만 그 문장에 담겨있는 여러 상상을 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탑은 어린 시절에 서원의 제생(諸生)이 되어 명나라의 사대부들이 그러했듯 소위 엘리트 코스의 길을 걸을 준비를 했다. 그러나 주탑이 18세가 된 1644년에 명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가 자금성 뒤의 매산(煤山, 지금
로그인한 사용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