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건물에 드러난 제국주의의 흔적…신간 '식민지 건축'
1. "다음과 같이 상상해 보길 권한다. 만약 지금 조선이 발흥하고 일본이 쇠퇴해 결국 조선에 병합되어 궁성이 폐허가 되고, 대신 그 자리에 거대한 서양풍의 일본총독부 건물이 세워지고 그 벽담을 넘어 멀리 우러러보았던 흰 벽의 에도성이 파괴되는 광경을 말이다.” 2. 일본의 미술 평론가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가 쓴 '사라지려는 조선 건축을 위해'의 글 중 일부다. 그는 일본 정부의 독단적인 조선총독부 설립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건설과정에서 조선 왕궁을 해체하고, 주변 환경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다. 3. 일본 정치가와 건축가들은 조선의 전통과 문화를 백안시했다. 그들이 관심을 둔 건 일본 제국주의의 위대함을 드러낼 수 있는 건물의 위용이었다. 건축가들이 총독부 건물을 화려한 바로크 양식의 외관에 화강암으로 마감한 외벽을 입힌 이유다. 4. 조선총독부 건물은 김영삼 정부가 추진한 '역사바로세우기'의 일환으로 1995년 철거됐다. 5
로그인한 사용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