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고전을 읽는 순서
석사과정을 다닐 때 졸업논문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스터디를 한 적이 있습니다. 효율성을 위해 같은 전공별로 박사, 석사 모두 모여서 하는 스터디였죠. 저는 회화사 전공자라 회화사 스터디에 참여했는데 거기에는 학계에서 소장학자로 인정받는 선배들도 계셔서 꽤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인문학 전공자들에게는 참고해야 할 고전을 알고 어디서, 어떻게 찾는지 아는 것도 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때 시간이 가장 많이 걸리죠. 헤매기도 엄청 헤매거든요. 그 과정에서 주제가 바뀌기도 하고요. 저도 처음에는 조선 초기의 소상팔경도로 쓰려다가 일본미술사로 변경했습니다. 그래서 변경한 후에는 직접 일본에 가서 스스로 자료를 찾아야 했죠. 그 당시에는 일본미술사 연구자가 교수님들을 빼면 이미 졸업한 학계 선배들 2, 3명 정도 밖에 없었습니다. 그들도 졸업 후에는 공부를 중단하거나, 한국미술사로 바꾼지 오래여서 직접적인 도움을 받기가 애매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규슈 오이타현에 있는 어느
로그인한 사용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