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로베니 예배당> 내부, 파도바, 이탈리아

유럽 중세는 가톨릭이 중세인들의 모든 것을 지배하고 기준이 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암흑 시대(Dark Ages)’라는 별칭을 갖고 있었다. 가톨릭이 유럽을 지배하면서 사람들의 의식주부터 욕구 및 본능이 억압되고, 문화와 경제적으로 쇠퇴했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은 르네상스 시대에 형성되어 19세기 말까지 이어졌다. 중세 바로 다음에 도래한 르네상스의 인본주의자들이 중세를 거부하고 고대 그리스와 로마 사상을 계승하면서 소위 ‘어둡기만했던 중세’의 이미지는 더욱 강화되었다. 이는 19세기까지 유럽 사상계의 보편적인 인식이 되었다.

중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된 지금은 ‘암흑 시대’라는 말을 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역사를 우열관계로 보지 않고 하나의 흐름 속에서 중세만의 특징을 발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중세 미술도 같은 맥락에서 재평가받게 되었다. 미술기법의 발전의 측면에서만 본다면 중세 미술은 분명 이후 시대에 비해 저평가받을 만하다. 그러나 당시의 사회문화사적 관점에서 보면 중세 미술만의 특장은 분명 존재한다.

중세라는 특정 시간대의 문화를 프레임삼아 미술 작품을 바라보면 중세 미술의 개성에 주목할 수 있다. 이 관점으로 중세 미술을 연구하는 방법론이 도상해석학이다. 도상해석학은 작품을 표현하는 형식-붓질은 어떠하고 구도는 어떠하다 등의-보다 내용의 의미 파악에 집중하려는 방법론이다. 중세 미술, 특히 종교화가 작가의 예술성 발현이 아니라 종교적 가르침을 위한 제례 도구로 제작했다는 점을 상기하면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려는 도상해석학적 방법론이 양식의 발전을 논하는 것보다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